본문 바로가기
정치 인사이트

이재명 후보, 2025년 대선 출마까지의 여정과 그 생애

by 전략적사고 2025. 5. 2.
반응형

2025년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다시 한 번 대권 도전에 나섰습니다. “실용과 민생”을 내세우며 진보 진영의 중심에 선 그는, 이미 2022년 대선에서 0.73%p 차로 석패한 바 있는 인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성남시장이자 경기지사, 그리고 제1야당 대표로서의 이재명 후보의 삶과 정치적 여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가난을 딛고 일어선 소년공 출신

  • 출생: 1964년 12월 22일, 경북 안동
  • 성장 배경: 8남매 중 여섯째, 극심한 가난
  • 소년공 시절: 초등학교 졸업 후 성남으로 이사, 중학교 대신 공장 근무
  • 검정고시 합격 후 대학 진학: 중앙대학교 법학과 입학, 사법시험 합격 (사법연수원 18기)

이재명 후보는 극한의 빈곤 속에서 성장했습니다. 어려서부터 성남의 공단에서 소년공으로 일하며 생계를 돕다가, 독학으로 중·고등학교 검정고시를 통과하고 대학에 진학, 결국 사법시험에 합격한 입지전적인 인물입니다.


⚖️ 2. 인권변호사로서의 시작

반응형
  • 성남지역 노동자·시민운동 지원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활동
  • 장애인·비정규직·철거민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무료 법률지원

변호사 이재명은 돈을 좇지 않았습니다. 그는 성남에서 민생과 밀착한 공익 변호 활동에 주력하며 ‘서민의 변호사’로 불렸습니다. 이 시기의 경험은 이후 정치인 이재명의 정책 철학—기본소득, 공공복지 강화—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 3. 지방행정가로서의 도약

▶ 성남시장 (2010~2018)

  • 대표 성과:
    • 전국 최초 청년배당 시행
    • 무상교복, 무상산후조리원
    • 성남시 모라토리엄 선언 후 재정 건전화 성공

‘모라토리엄 시장’이라는 별명을 얻을 만큼 파격적인 개혁과 복지 행보를 이어갔습니다. 성남시는 그동안 누적된 적자와 부채에서 벗어나 모범적인 복지도시로 거듭났습니다.

▶ 경기도지사 (2018~2021)

  •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제안
  • 코로나19 대응 선도 지자체: 전국 최초 재난지원금 지급
  • 공공개발이익 환수 정책 강화

경기도지사로서 이재명은 ‘실행력 있는 정치인’으로 평가받으며 전국적인 인지도를 더욱 높였습니다.


🗳️ 4. 대선 도전과 야당 대표로서의 여정

▶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 득표율: 47.83% (윤석열 48.56%에 0.73%p 차 석패)
  • 정치권 반응: 사실상 ‘야권 대선주자 1순위’로 굳힘

▶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2022.8 ~ )

  • 당 혁신안 추진: 당직선거제도 개편, 청년정치 확대
  • 야당 대표로서 윤석열 정부와 각을 세우며 견제 역할 수행
  • 사법 리스크 등 여러 위기에도 불구, 당내 기반 공고히

이재명 대표는 대선 패배 후에도 정치적 입지를 오히려 강화시켰으며, 제1야당 대표로서 전국 단위 이슈를 선점하는 데 능숙한 전략가로 평가받았습니다.


🗓️ 5. 2025년 대선, 다시 도전하는 ‘실용 진보’

  • 출마 선언 시점: 2025년 조기 대선 결정 직후
  • 핵심 공약:
    • 기본소득제 단계적 도입
    • 100만 호 기본주택 공급
    • 디지털 대전환 산업 육성 (AI, 반도체, 2차전지 등)
    • 탄소세 기반 녹색경제 전환
  • 슬로건: "기회는 평등하게, 결과는 정의롭게"

그는 2022년의 아쉬움을 딛고 ‘실용 진보’를 전면에 내세우며 중도층과 청년세대까지 아우르는 연대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 6. 결론: 가장 입체적인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는 가난에서 시작해 인권변호사, 개혁형 지방행정가, 유력 대권주자까지 걸어온 입체적인 인물입니다. 강한 추진력과 논쟁적 언행, 그리고 민생 밀착형 정책을 통해 끊임없이 주목을 받아 왔으며, 이번 대선에서도 그의 승부수는 대한민국 미래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